728x90
SMALL
🧬 1. 피브레이트란?
피브레이트(fibrate)는 혈중 지질, 특히 중성지방(Triglyceride, TG)을 효과적으로 낮추고 HDL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는 지질강하제(Lipid-lowering agent)입니다.이 계열 약물은 다음과 같은 환자에게 사용됩니다:
- 고중성지방혈증
- HDL 수치가 낮은 환자
- 심혈관질환 예방 목적
- 혼합형 이상지질혈증 (LDL + TG ↑)
🧠 LDL 콜레스테롤은 스타틴이 주력이라면, 중성지방 치료의 주축은 피브레이트입니다.
🔬 2. 작용 기전 (기초과학 기반 설명)
피브레이트는 PPAR-α (Peroxisome Proliferator-Activated Receptor-alpha) 라는 핵수용체를 자극하여 지방산 산화와 지질 대사를 조절합니다.
🧪 주요 작용
간에서 중성지방 생성 억제,지단백분해효소(LPL) 활성 증가 → 중성지방 분해 촉진,HDL 콜레스테롤 합성 증가,VLDL (초저밀도 콜레스테롤) 감소
결과적으로 중성지방은 낮추고, HDL은 높이며, 간접적으로 LDL도 일부 개선할 수 있습니다.
💊 3. 주요 약물 종류
약물명특징상표명 예시
페노피브레이트 (Fenofibrate) | 가장 많이 사용, 스타틴과 병용 가능성 높음 | 리피논정, 트리그리드 |
젬피브로질 (Gemfibrozil) | 식후 복용, 스타틴 병용 시 근육 손상 ↑ | 로피드캡슐 |
베자피브레이트 (Bezafibrate) |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과 일부 보고 | 베자립정 |
📌 대개는 페노피브레이트가 1차 선택약물로 쓰이며, 젬피브로질은 병용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.
📊 4. 적응증 및 사용 대상
적응증
- 중성지방 200~500mg/dL 이상
- HDL 콜레스테롤 40mg/dL 미만 (남성), 50mg/dL 미만 (여성)
- 고중성지방혈증으로 인한 급성 췌장염 위험이 있는 경우
- 스타틴 단독으로 LDL은 조절되나 TG 수치가 높은 경우
사용 대상
- 당뇨병 환자 중 고중성지방/저HDL을 동반한 경우
- 혼합형 이상지질혈증 환자
- 고중성지방에 의한 췌장염 병력자
⚠️ 5. 부작용 및 병용 주의사항
📉 흔한 부작용
- 소화불량, 복통, 설사
- 간효소 상승 (ALT, AST)
- 피부 발진, 가려움
⚠️ 주의할 부작용
- 근육통, 근육병증 → 횡문근융해증 가능성 특히 스타틴과 병용 시 발생 위험 증가
- 담석 형성 증가
- 신장 기능 악화 (GFR 감소 시 용량 조절 필요)
🚨 스타틴과 병용 시 근육 효소(CK), 간 수치(LFT) 주기적 검사 필요
🧾 6. 복용 방법 및 주의사항
항목내용
복용 시간 | 식사와 함께 또는 식후 복용 권장 (흡수율↑) |
복용 중 주의사항 | 음주 자제, 정기적인 혈액검사(간/신장) 필요 |
용량 조절 | 고령자, 만성 신장병 환자는 감량 필요 |
⛔ 임산부, 수유부, 간질환 환자는 복용 금지
🔍 7. 스타틴과 병용 요법
- 페노피브레이트는 아토르바스타틴, 로수바스타틴 등과 병용 가능
- 병용 요법은 LDL + TG + HDL을 모두 조절해야 하는 환자군에게 특히 효과적
단, 젬피브로질과는 병용 피함 → 횡문근융해증 위험 증가
📈 8. 치료 반응 및 모니터링
항목권장 모니터링 주기
중성지방 수치(TG) | 시작 후 8~12주마다 재측정 |
근육 효소(CK) | 근육통/약화 증상 있을 때 측정 |
간 효소 (ALT, AST) | 치료 시작 후 3개월 내 추적 |
신기능 (GFR) | 고령자 또는 기존 신장질환자: 주기적 확인 필요 |
✅ 9. 정리 요약
구분피브레이트
주 작용 | 중성지방 ↓, HDL ↑ |
작용기전 | PPAR-α 작용, 지질 대사 촉진 |
주 적응증 | 고중성지방혈증, HDL 감소 |
주요 약물 | 페노피브레이트, 젬피브로질, 베자피브레이트 |
병용요법 | 스타틴 병용 가능 (단, 젬피브로질 제외) |
부작용 주의 | 간기능, 근육병증, 담석증 |
728x90
'건강정보공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💊 피브레이트 vs 스타틴중성지방과 LDL을 겨냥한 지질강하제의 선택 가이드 (0) | 2025.05.25 |
---|---|
💊 스타틴(Statin)의 모든 것LDL 콜레스테롤을 조절하고 심장을 지키는 가장 강력한 약물 (1) | 2025.05.24 |
🧬 이상지질혈증(Dyslipidemia)심장과 혈관에 스며드는 조용한 질환 (1) | 2025.05.22 |
🧬 대사증후군(Metabolic Syndrome)이란?몸속 경고등이 동시에 켜지는 위기의 신호 (5) | 2025.05.21 |
📌 중심성 비만이란?단순한 ‘뱃살’이 아니다. 내장지방이 부르는 위험 신호 (0) | 2025.05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