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국어상식15

🐒 “꼴값 떨지 마라”― 네가 지금 하고 있는 꼴이 얼마나 우스운 줄 아냐? 🧠 1. ‘꼴값’이 뭐야?꼴겉모습, 태도, 분위기값가치, 품격 또는 그에 어울리는 정도→ ‘꼴값’ = 네 꼴(모습, 수준)에 어울리지 않는 행동을 한다’는 비하적 표현 📌 즉, ‘꼴값 떨다’는 제 수준도 모르고 설치거나 과한 행동을 한다는 의미🔥 2. 비하 + 조롱 + 경멸이 섞인 표현🙅‍♀️ “지가 뭔데 저렇게 꼴값을 떨고 있어?”🙄 “그 복장 입고 나대는 거 완전 꼴값”😒 “SNS에 꼴값 떨지 말고 현실 좀 봐”✔ 단순한 비판이 아니라 ‘그 행동 자체가 민망하고 역겹다’는 평가를 동반💬 3. 자주 쓰이는 상황 & 숨은 감정과한 패션, 메이크업“꼴값 떨고 있네 진짜”조롱, 혐오SNS에서 과도한 자랑“꼴값 그만 떨고 일이나 해라”비하, 경멸애정 표현이나 흥분한 행동“꼴값 작작 떨어라”부끄러.. 2025. 7. 3.
🍚 “밥맛이다”― 네 존재 하나로 밥맛이 뚝 떨어진다? 🧠 1. ‘밥맛’의 원래 의미밥맛밥이 입에 맞는 정도, 즉 식욕→ “밥맛이 좋다”는 건강하거나 기분 좋을 때 사용 📌 그런데 여기에 부정어가 붙으면? → “밥맛이 없다” → 짜증 나고 입맛도 사라짐 → 결국 “밥맛이다”는 짜증 나는 존재라는 비난으로 변질됨💥 2. ‘밥맛’이 욕이 된 과정한국은 오랜 시간 밥 = 생명 = 일상이었음그만큼 밥맛을 떨어뜨리는 존재 = 일상 자체를 방해하는 존재→ 굉장히 감정적으로 강한 표현으로 사용됨✔ “밥맛이다” =→ 너 때문에 기분이 나빠졌어→ 널 보면 정 떨어지고 싫어💬 3. 사용 예시연인이 이유 없이 뾰루퉁할 때“아 진짜 밥맛이다”정 떨어짐, 짜증친구가 분위기 망쳤을 때“밥맛 떨어지게 왜 저래?”불쾌감누가 지나치게 의식적으로 행동할 때“아우 밥맛~”비꼼, 혐오드.. 2025. 7. 2.
🗣️ “말곱게 못하냐”― 말은 칼보다 날카롭고, 표정보다 빠르다 🧠 1. '곱다'의 원래 의미곱다아름답고 부드럽다, 온화하다→ 말에 붙으면 “말이 곱다”는 예쁘고 듣기 좋은 말투를 의미 📌 그래서 “말곱게 못하냐”는 말투가 거칠고 날카롭다, 너는 왜 항상 예민하고 공격적이냐라는 뜻이 됩니다. 🔍 2. 본질은 ‘너는 왜 예쁘게 말 못 해?’이 표현은 상대방의 말투에 대해 비교 + 평가 + 압박이 담겨 있습니다.❗ 단순한 말투 지적이 아니라 ✔ “너는 항상 공격적이야” ✔ “듣기 싫은 말을 너무 아무렇지 않게 해” 라는 인격적 코멘트로 느껴질 수 있음💬 3. 사용 예시친구가 직설적으로 말할 때“말 좀 곱게 하면 안 되냐?”짜증, 질책누가 반말투로 툭툭 내뱉을 때“말곱게 못하냐 진짜”비난, 공격가족끼리 말다툼 중“맨날 말투 왜 그러냐. 말곱게 못해?”서운함, 실.. 2025. 7. 1.
👀 “눈치 없다”― 당신은 지금 이 분위기를 못 느끼는 거야, 아니면 무시하는 거야? 🧠 1. ‘눈치’란 무엇인가?눈치눈에 보이지 않는 상황의 흐름, 분위기, 타인의 감정이나 의도를 읽는 능력→ 사회생활, 인간관계에서 ‘비언어적 감각’을 대표하는 한국형 개념 📌 그래서 “눈치 없다”는 말은 → 분위기 파악 못 한다 / 타인의 감정을 무시한다 / 센스 없다는 비난이 됩니다.💬 2. 사용 예시술자리에 끝까지 앉아있는 후배에게“진짜 눈치 없다”피로, 질책상대가 계속 분위기 흐리게 말할 때“야, 눈치 좀 챙겨라”답답함, 분노썸 탈 때 너무 무뚝뚝한 사람에게“너 왜 그렇게 눈치가 없어?”서운함, 실망업무에서 분위기 못 읽는 직원에게“눈치 진짜 없다”질책, 조롱 ✔ 대부분 ‘지각 능력’과 ‘사회성 부족’을 한꺼번에 비난하는 감정이 담겨 있습니다.🔥 3. 왜 이 말이 날카로울까?말로 설명하지.. 2025. 6. 30.
💢 “지랄맞다”― 어디서 그런 못된 병이나 맞고 온 듯한 성격이란 말? 🧠 1. ‘지랄’의 원뜻부터 짚고 가기지랄(癲癎)뇌전증(간질)의 속어. 발작성 행동을 뜻함맞다어떤 병에 걸리다 / 영향을 받다 (예: 감기 맞았다) 📌 즉, ‘지랄맞다’는 말은 “간질병처럼 이상하고 통제 불가능한 상태를 가진” 이라는 매우 부정적이고 차별적인 의미에서 출발했습니다. ⚠️ 2. 정확히 말하면 ‘질병 비하 표현’‘지랄맞다’는 뇌전증 환자들의 발작 증상을 빗대어 일상에서 성격·행동·말투가 지나치게 이상하거나 괴팍할 때 욕처럼 쓰이게 된 것입니다.❗ 원래 의미를 생각하면,장애 차별적 요소를 가진 욕설이라는 점을 반드시 인지해야 합니다.💬 3. 일상 속 사용 예시“진짜 지랄맞은 성격이네”이해 안 되는 행동혐오, 분노“그 지랄맞은 고집 좀 꺾어”끝없는 자기 주장짜증“지랄맞은 하루였다”온갖 불운.. 2025. 6. 29.
😂 “깔깔거리다”― 웃음소리는 웃음일 뿐일까? 때로는 조롱과 눈총의 시작 🧠 1. ‘깔깔거리다’의 기본 의미깔깔거리다높은 톤으로 크고 경쾌하게 웃는 소리를 반복함→ 보통 여자아이, 수다스러운 사람들의 경쾌한 웃음 묘사 📌 표준국어대사전에는 "목소리 높여 즐겁게 웃는 모양"이라고 정의되어 있습니다. 하지만, 그 상황과 대상에 따라 완전히 다른 의미로 변질됩니다. 🤔 2. 언제부터 부정적으로 쓰이게 됐을까?✔ 단어 자체는 웃음을 뜻하지만, 사회 속 맥락에서 비판적으로 변형됨.🙅 “지금 깔깔거릴 상황이 아니잖아.”🙄 “거기서 깔깔대고 앉아있더라?”😠 “깔깔거리는 거 보니까 나 비웃는 거네.” 📌 ‘웃음’이 아닌 경망스러움·공감 결여·눈치 없음을 드러내는 말로 변화한 것!💬 3. 사용 예시와 숨겨진 감정조용한 회의 중 수다 떨며 웃을 때“누가 거기서 깔깔대래?”무례.. 2025. 6. 28.
728x90